자동차

그랜저 르블랑 퍼포먼스 패키지 그리고 카본(CFRP)에 대해서

말랑뚱이 2021. 5. 12. 23:54
반응형

 

 

그랜저 카본 사이드미러

 

 

안녕하세요~

 

이번에 현대차에서 그랜저 21my 르블랑 트림을 출시하였습니다. 고객들이 선호하는 사양 위주로 가격을 인하하여 구성한 것이 주목 할 만한데요, 하얀색이라는 Blanc  라는 말처럼 블랙&화이트 컨셉의 투톤 내장 사양이 구미를 당기게 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특히 특별한 점으로는 카본 사이드미러, 카본 리어 스포일러, 알칸타라 스티어링휠, 알칸타라 암레스트 등이 적용된 것인데요.

보통 카본이라고하면 스포티한 느낌을 주는 소재이기도하고, 대중적으로 잘 선택 하지 않는 옵션인데 그랜저 3.3 르블랑 트림을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정말 특이합니다.

 

그런데, 잘 보면 르블랑이라는 컨셉이랑 잘 어울리기도 하는것 같고..? 실물을 봐야겠지만, 사진상으로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인 것 같습니다.

 

사이드미러의 경우 사이드 리피터또한 색상이 좀 다른 모습임을 알 수 있는데, 실제로 점등하는 모습을 보고싶네요.

 

 

그랜저 카본 리어스포일러

 

 

카본 리어 스포일러는 호불호가 많이 갈릴 것 같습니다. 그래도 패턴이나 형상이 생각보다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홈페이지에 보면 리어스포일러 같은 경우 주행시 향상된 공력 성능을 구현한다고 하는데, 과연 얼마나 성능 향상을 이루어 낼지 궁금하네요.

 

보통 리어스포일러를 장착하게 되면 차량의 양력을 감소시켜주는(Down Force를 증대시켜줌) 효과가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구현 할 수 있습니다. 

 

르블랑 퍼포먼스 패키지에 적용된 리어 스포일러 또한 기대가 됩니다.

 

 

이렇게 그랜저 르블랑 퍼포먼스 패키지에 카본 소재가 적용된 옵션이 기본 적용이 되는데, 카본이란 어떤 소재일까요?

 

카본 파이버 (Carbon Fiber) = 탄소섬유 
CFRP =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or Plastic) 
 : 탄소섬유로 만든 직물과 합성수지를 혼합해 만든 복합 재료

 

흔히 리얼 카본, 카본이라고하는 명칭들은 보통 CFRP 소재가 적용된 부품을 이야기합니다. 

이 소재는 어떤 장점이 있어서 스포티한, 그리고 고급 자동차들에 사용이되는 걸까요??

 

첫번째. 디자인적인 강점

 

 사실 소재의 특성이 먼저 일 것 같지만, 아무래도 가장 중요한 것은 디자인적인 강점일 것 같습니다.

카본은 일반 플라스틱 사출이나, 프레스를 이용한 스틸재질과는 다르게 탄소섬유로 만들어진 섬유시트들을 수작업으로 적층해서 만들게 됩니다.

이러한 제작과정에서 만들어지는 특이한 패턴과 고유한 입체감은 사람들에게 매력으로 다가오게 됩니다.

일반 플라스틱보다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고, 강하고 단단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비싼 돈을 주고도 선택을하게 되는것이죠.

 

 

 


두번째, 가벼운 무게 그리고 단단함

 

탄소 섬유는 플라스틱/유리와 결합했을때 높은 강도의 복합재료가 만들어지고, 탄소섬유의 밀도는 강철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무게는 가벼우면서 강한 성질을 갖게됩니다.

 

참고로 철의 밀도는  7.8 g/cm3 이상인 반면에 CFRP는  1.5~1.6 g/cm3 선으로 철 대비 많이 가벼운 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때문에, 자동차가 아닌 분야에서는 보통 자전거, 삼각대 등 강성과 가벼운 무게를 요구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 되고 있습니다.

(물론 카본이 적용된 제품들은 가격이 정말 사악해집니다.)

 

 

카본 프레임이 적용된 샤오미 자전거와 삼각대

 

이런 카본의 특성으로 앞으로 자동차의 경량화에 많은 부분을 차지 하게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차체 구조는 강건하게 설계를 할 수 밖에 없는데요, 

기본적으로 힘이 많이 가해지게 되는 프레임 구조들은 외판과는 다르게 더 두껍고 무겁고 밀도가 높은 철을 사용하게됩니다. 

 

이런 부분들에 CFRP 소재가 적용된다면 보다 가볍지만 강성은 또 확보를 할 수 있게 되겠죠?

물론 가격에 대한 부분이 문제지만, 앞으로 기술개발을 통해 좀 더 저렴한 소재가 된다면 차차 적용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BMW i3의 플랫폼을 보면 차체의 일정 부분이 카본소재로 적용이 될거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머지 않은 미래에 슈퍼카가 아닌 우리와 가까운 일반 자동차에도 카본 소재의 프레임이 적용된 차량들이 많이 나오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3D 프린터를 활용해 만든 CFRP

 

 

오늘은 그랜저 르블랑 트림에 포함된 카본 사이드미러와 카본 리어스포일러를 소개하면서, 간략하게 카본이라는 소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장점을 갖고있는 소재이니만큼, 개발이 잘 되서 앞으로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자동차] 그랜저 IG FL 중립 주차 설정 방법  (0) 2021.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