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주식&경제

[5월5일] 나스낙 폭락 원인 분석 및 투자 전략 점검

말랑뚱이 2022. 5. 6. 10:38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밤 나스닥이 다시 최대폭으로 폭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5월 4일 FOMC에서 파월 의장은 기준금리를 50bp인상한다고 발표했는데요.

 

미국 금리 빅스텝 시작…한국, 인상압박 커졌다 | 중앙일보 (joongang.co.kr)

 

미국 금리 빅스텝 시작…한국, 인상압박 커졌다

자이언트 스텝 여부를 묻는 말에 "FOMC는 0.75%포인트 인상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추후 몇 차례 회의에서 0.5%포인트 추가 인상을 테이블에 올려야 한다는 게 FOMC의 대체적인 생각"이

www.joongang.co.kr

 

시장은 78bp 인상 우려에 대한 부분이 잠식되었기 때문인지 반등하는 못습을 보였습니다.

그런데 어제 시장은 반대로 흘러갔죠

 

미국 주식을 대표하는 빅테크 기업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섹터에서 큰폭의 하락이 나타났습니다.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1. 연준의 정책 실패 가능성 부각

 → 시장에서 우려했던 70bp 인상에 대한 부분에 대해 파월의장의 회의적인 입장을 확인했고 그런 온건적인 통화정책에 반색하여 급등세를 나타내었으나, 이런 긴축 조치로써는 높아진 물가를 잡을 수 없을 것 같은 우려가 생겨났고, 연 8%를 넘나드는 소비자 물가를 연준 목표 수준인 2%대 중반으로 내려오기위해서는 더 강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보고있습니다.

 

2. 고물가에 따른 경기 침체 위험

→ 지난 미국 1분기 GDP는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바 있고, 인플레이션으로인해 기업투자와 민간 소비가 위축될경우 이는 곧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때문입니다.

 

※ 스태그 플레이션

 :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에서 고(高)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그 정도가 심할 경우 '슬럼프플레이션'이라고도 한다.

 

스태그 플레이션으로 진입 할 경우 경기는 장기 침체 향상으로 이어져서, 주식 시장도 한동안 지지부진한 모습으로 진행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이익이 나지 않는 성장주들의 경우 투자 심리가 위축되면서 더욱 낙폭을 키울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습니다.

 

3. 러시아의 핵 전쟁 위협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고있고, 러시아와 미국간 새로운 냉전 구조는 점점 고착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러시아는 핵 공격 모의 훈련을 통해 더욱 긴장감을 높이고있는 상태입니다. 이 부분도 증시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을 확률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EU 보란 듯…러시아, 발트해서 핵공격 모의훈련 | 중앙일보 (joongang.co.kr)

 

EU 보란 듯…러시아, 발트해서 핵공격 모의훈련

우크라이나를 침공 중인 러시아가 발트해 동남부 연안에 있는 역외 영토 칼리닌그라드에서 핵 공격 모의훈련을 했다고 AFP통신이 지난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이날 자국군이

www.joongang.co.kr

 


◆ 향후 전망 및 전략

 

원달러 환율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있습니다..

탈 코리아라고 봐도 무방 할 정도로 외인들의 매도세가 거센상황인데요..

미증시 폭락에 코스피 1%대 하락…기관·외인 '매도'(종합) | 연합뉴스 (yna.co.kr)

 

미증시 폭락에 코스피 1%대 하락…기관·외인 '매도'(종합)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미국 증시 폭락 여파로 6일 코스피가 하락세로 출발해 2,640선으로 후퇴했다.

www.yna.co.kr

 

지속적으로 외국인들의 매도는 이어지고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렇게 환율이 올라가면 오히려 수출기업에게는 환차익으로 인한 수익이 많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데요.

특히 반도체나 자동차처럼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들은 오히려 좋은 기회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아진 환율때문에 미국 주식을 매입하기 보다 오히려 국내 주식이 더 저렴하게 다가 올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등 국내 우량 주식에 대해서 조금 더 관심 가져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높아지는 금리로 인해서 여러무로 투자 심리가 위축될 것으로 보이는데 아무래도 성장주나 IT 관련 종목들은 더 위축 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를 보면 타 수출위주 제조업 대비 더 많은 낙폭을 나타냄을 알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그 원인일텐데요. 물론 정말 좋은 두 기업이지만, 가까운 시일에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런 금리인상 시기에 또 좋은 종목들이 있을 것 같은데요

KT&G 와 같은 배당종목입니다.

금일 주가 기준으로 배당률이 5.83%로 특별한 이슈가 없다면 배당만 받아도 너무 좋은 종목이지않을까 싶습니다.

 

비슷한 배당 테마로 현대차 우선주도 좋은 선택일 것 같구요.

 

효성과 같은 종목도 너무 좋아보입니다.

무려 주당 5만원의 배당이 책정되었을정도로 높은 배당 수익률을 나타내고있습니다..

 


저는 흠.. 미국 주식인 유니티를 가장 많은 비중으로 보유 하고있습니다.

 

Unity Software Inc. (U) Stock Price, News, Quote & History - Yahoo Finance

 

Unity Software Inc. (U) Stock Price, News, Quote & History - Yahoo Finance

Find the latest Unity Software Inc. (U) stock quote, history, news and other vital information to help you with your stock trading and investing.

finance.yahoo.com

최근 주가 하락폭이 커서 조금 타격이 크지만...ㅠㅠ

5/10일에 있는 컨퍼런스콜을 보고 종목에 대해 추가 매수나 분할매도를 결정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대주주가되어 장투의 길로..)

 

저는 추가적으로는 배당주쪽으로 좀 접근을 해보려고합니다.

위에 언급한 종목들 위주로 조금 더 공부를 해보고 매수 타이밍을 잡아 볼까합니다.

 

금리인상과 양적완화 축소 등으로 전세계 유동성은 어느정도 줄어들 수 밖에 없을 것 같기 때문에 성장주에 대한 포트폴리오 추가는 조금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 ①수출위주의 제조업 ② 배당위주의 우량주 ] 두가지 테마로 고민해보고자합니다.

 

아무쪼롬 주식시장의 조정으로 마음이 안좋으신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너무 스트레스 받지마시고 행복한 하루하루되시길 바랍니다!!

 

 

※ 이 글은 개인적인 투자 분석 및 공부를 위한 글입니다. 

※ 매수 추천 글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자료로 활용 될 수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