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생활정보

[얀센 코로나 백신] 얀센 백신 맞아도 될까요? 부작용/효과 등 집중 탐구!

말랑뚱이 2021. 6. 2. 21:26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번에는, 네가지 백신에 대해서 유형별로 분류하고, 장단점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오늘은 얀센 백신에대해서 집중 탐구를 해보려고합니다.

저도 이번에 미국에서 공수한 100만회분을 신청해서 6월 12일 토요일 9시에 백신 접종 예정입니다.

코로나 백신에 대해서 전반적인 요약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이전 포스팅 내용을 참고하세요!

[코로나 백신] 얀센, AZ, 화이자, 모더나 각 특징별 정보!! (tistory.com)

[코로나 백신] 얀센, AZ, 화이자, 모더나 각 특징별 정보!!

안녕하세요! 6월 1일 부 선착순으로 현역군인/예비군/민방위 대상으로 얀센 백신을 100만회 분 제공한다고 합니다. 흔히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는 많이 들었는데 얀센은 조금 생소하신

cactusintheoasis.tistory.com


얀센 백신에 대해서 아래 목차로 포스팅을 해볼까합니다.


1. 얀센 백신에 대해서
① 제조사
② 백신 개발 현황
③ 주의사항
2. 얀센 백신이 고민되는 이유
3. 결론


1. 얀센 백신에 대해서


제조사(얀센, Janssen)

얀센, 그리고 존슨앤존슨


2010년, 네널란드의 대형 백신 메이커인 크루셀(Crucell N.V.)이 존슨앤존슨에 인수 합병됩니다.
그래서 존슨앤존슨의 제약부분 백신 전문 계열사로, 얀센백신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태어나게되었습니다.
이는 1931년부터 수 많은 질병들 당뇨병, 건선, 알츠하이머 HIV 및 암 등을 치료하고 관리하는 등 많은 분에서 백신, 의약품 등을 개발하고 생산해왔습니다.

https://youtu.be/SA7ag99jNPA


우리에겐 다소 생소한 회사지만, 알게모르게 국내 많은 부문과 협력도 해왔고, 나름 역사를 갖고 있는 회사입니다.
얀센 백신은 송도바이오단지에 백신 제조시설 및 연구시설 또한 운용 중입니다.(아쉽게도 아직까지 국내에서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국내 생산시설을 보유하고있기때문에 향후 국내 생산도 기대 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백신 개발 이력

얀센 백신은, 2020년 9월부터 임상 3상실험에 들어갔고, 현재 FDA승인 및 미국내 권고하는 3가지 백신 중 한가지입니다.
흔한 감기 바이러스인 아데노바이러스(AD26)을 운반체로 SARS-Cov-2 바이러스의 S 단백질을 전달하는 형태입니다.

임상 3상에서 약 66%의 예방 효과가 발생한다고 발표했고, 다만 이 수치는 화이자,모더나의 90퍼센트 이상의 수치랑 동일하게 비교하기가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쭉 아래에서 설명드릴게요!

- 날짜별 백신 사용 개발 이력

2020년 9월 임상 3상 돌입
2021년 2월 21일 임상 결과 발표
2021년 2월 28일 미국 FDA(식품의약국), CDC(질병통제예방센터) 승인
2021년 4월 7일 국내 식약청 최종 승인
2021년 4월 13일 얀센 백신 접종 일시 중단(CDC, FDA) : 혈전 증상 발생으로 일시 중단
2021년 4월 23일 백신 사용 재개 권장(CDC, FDA)
유럽(EMA), 미국, 스위스 등 35개 국가와 WHO에서도 조건부 허가 또는 긴급사용승인 완료

https://www.cdc.gov/mmwr/volumes/70/wr/mm7009e4.htm?s_cid=mm7009e4_w (임상 결과 관련 보고서)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

This report describes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s) interim recommendation for use of the Janssen COVID-19 vaccine for the prevention of COVID-19.

www.cdc.gov

- 백신의 효과 정보

2주 전 감염 증거가 없던 사람들 대상으로 실시한 접종 시 2주 뒤에 가장 면역성이 좋아졌다고합니다.
중증 환자 대상의 효과가 훨씬 좋았고, 접종 후 4주가 지난 뒤 코로나에 걸린 사람은 입원 하지 않아도 된다고합니다.
참고로 접종 28일 후 심각한 질병 및 입원을 한 환자에 대해서 85%의 효능을 갖고있다고합니다.


제조사에서 공지하는 주의사항

- 체온이 38.5ºC 이상인 사람은 접종 연기 권고
- 다른 백신과의 혼용시 최소 14일 이상 간격을 둘것
- 임산부는 접종을 받을 수 있으나, 안정성에 대한 데이터가 없음
- 고혈압, 만성 폐 질환, 심각한 심장 질환, 비만, 당뇨병 등 중증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
- 백신 성분에 대해 아나필락시스 병력이 있는 사람은 복용하면 안됨(백신 알러지)
- 18세 미만의 사람에게는 권장하지 않음(임상 데이터 부족)

2. 얀센 백신이 고민되는 이유


얀센 백신을 맞기 꺼려하는 가장 큰 요인은 두가지라고 볼 수 있는데요.

첫번째. 혈전 증상과 같은 부작용

얀센 백신을 맞은 사람들 중 간혹 혈전 증상으로 인해 심하게는 사망에 까지 이르게 된 사례가 있는데요.
그래서 사람들이 많이 불안해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 혈전 증상이 발생된 사례는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고, 중증 환자가 코로나에 걸렸을때 사망률이 높은데 반해, 백신 접종 시 면역 효과가 탁월하기 때문에, 기회가 된다면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 5/13일까지 접종된 대상 중 28명에게서 혈전 증상이 발견되었고, 이는 100만명당 12.4명 꼴로 발생한 것입니다. 확률이나, 비율로 보면 아주 작다고 볼 수 있으나, 모수가 크지 않아 불안한 요소를 갖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97%는 화이자와 모더나를 접종, 3퍼센트 정도가 얀센 백신 접종)

미국내 백신 타입별 1회 접종 현황

미국내 백신 투입 현황을 보면 화이자와 모더나가 약 3억회 접종이 진행되었고, 얀센의 경우 약 100만회 정도 투여된 것으로 확인이 되네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코로나 데이터 트래커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당 데이터는 CDC에서 제공합니다.

https://covid.cdc.gov/covid-data-tracker/#vaccinations

COVID Data Tracker

CDC’s home for COVID-19 data. Visualizations, graphs, and data in one easy-to-use website.

covid.cdc.gov


아직 접종 사례가 많지 않고, 부작용 사례가 간간히 보고되는 만큼 불안한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백신 접종으로 인한 효과와 이득이 훨씬 크기 때문에, 맞을 수 있다면 접종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두번째. 낮은 효과

앞서 얘기했던것처럼 얀센 백신의 경우 접종 28일 후 가장 강력한 면역 효과를 가져오고, 약 66%의 예방효과 그리고 중증환자의 경우 약 85%의 예방 수치를 임상을 통해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6개월의 짧은 유효기간을 갖고있죠ㅜㅜ)

이 효과의 수지만 보면 오잉? 이것 밖에 안되나?? 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화이자, 모더나의 임상 실험 방식 및 시기를 자세히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자세한건 아래 KBS 쌤과함께 라는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내용을 참고하면 이해가 빠를 것 같아 캡쳐본을 준비했습니다.


이런 집계 방식, 시기의 차이 때문에 수치상 면역률이 달라진 것이고 사실 어떤 백신을 맞아도 비슷한 면역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고합니다.

물론 화이자/모더나의 접종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고, 접종 후 항체 생성 비율 및 긴 면역 유효기간은 얀센 대비 훨씬 이점으로 다가오긴합니다.

3. 결론


전세계적으로 백신의 공급속도가 저조한 지금, 얀센을 선택하는 것은 나쁘지않다? 라는 생각입니다.
코로나19에 감염이 되더라도 훨씬 적은 증상으로 쉽게 나을 수 있고 6개월뒤에 화이자와 모더나가 공급이 원활해질때 다시 접종을 받으면 되기 때문에, 지금 기회가 될 때 맞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스트라제네카를 맞는 것도 좋은 선택일 것 같아요!

저는 아마도 6월 12일 토요일에 예약된대로 접종을 진행 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도 용기내서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 마스크 없는, 코로나 없는 세상이 좀 더 빨리 다가오기를 하는 생각으로 포스팅해봅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